본문 바로가기
기술 및 IT 트렌드

서버리스 컴퓨팅(Serverless Computing)의 장점과 한계

by voice-1 2025. 1. 13.
반응형

1. 서버리스 컴퓨팅의 개념: 서버 없는 서버 운영

서버리스 컴퓨팅(Serverless Computing)은 개발자가 인프라 관리에 신경 쓰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코드 작성과 배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입니다. "서버리스"라는 용어는 실제 서버가 없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서버를 운영, 관리하고 사용자는 이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개념입니다. 대표적인 서버리스 서비스로는 AWS Lambda, Azure Functions, Google Cloud Functions가 있습니다. 서버리스 컴퓨팅의 핵심은 이벤트 기반 실행 모델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는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포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서버리스 컴퓨팅(Serverless Computing)의 장점과 한계

2. 서버리스 컴퓨팅의 장점: 비용 효율성과 개발 생산성

서버리스 컴퓨팅의 가장 큰 장점은 비용 효율성개발 생산성 향상입니다. 첫째,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사용자는 실제 실행된 시간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합니다. 서버리스 환경에서는 미사용 시간 동안에도 비용이 발생하는 전통적인 서버 방식과 달리,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내는 페이애즈유고(Pay-as-You-Go) 모델을 제공합니다. 둘째, 개발 생산성은 서버리스 환경에서 크게 향상됩니다. 개발자는 서버 설정, 유지보수, 확장 같은 복잡한 작업을 신경 쓸 필요가 없으므로, 비즈니스 로직과 애플리케이션 기능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스타트업이나 소규모 개발 팀이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시장에 출시하려는 경우에 유리합니다.

 

3. 서버리스 컴퓨팅의 한계: 성능 문제와 벤더 종속성

서버리스 컴퓨팅은 강력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몇 가지 한계도 존재합니다. 첫째, 콜드 스타트(Cold Start) 문제가 있습니다. 서버리스 함수는 이벤트 발생 시 처음 실행되기 전 준비 시간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지연(latency)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실시간 처리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둘째, "벤더 종속성(Vendor Lock-in)"은 또 다른 주요 이슈입니다.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플랫폼에 최적화되어 설계되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으로 전환하거나 여러 플랫폼을 동시에 사용하는 데 제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WS Lambda에서 작성된 코드는 Google Cloud Functions로 쉽게 이전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제한은 장기적인 확장성이나 비용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서버리스 컴퓨팅의 활용 사례와 미래 전망

서버리스 컴퓨팅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벤트 중심 애플리케이션과 비정기적 워크로드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e커머스 사이트에서 서버리스는 사용자 활동에 따라 동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하여 트래픽 급증을 처리합니다. 또한, IoT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수많은 디바이스가 비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서버리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서버리스 컴퓨팅의 미래는 점점 더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과 통합될 가능성이 큽니다. 엣지 환경에서 서버리스 기술을 활용하면 데이터가 발생하는 곳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지연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 서버리스의 발전은 개발자가 인프라에 신경 쓰는 시간을 줄이고, 창의적인 솔루션 개발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반응형